INFORMATION

동학선언문 Donghak Manifesto (Do-ol Kim Young-Oak Philosopher of Korea)

운영자 0 252

도올 김용옥의 동학 선언문 전문 (영문자막)

 

도올TV 영상 주소 :

 

 

─ 동학농민혁명국가기념일 3주년을 맞이하여 ─

On the Occasion of the Three-Year Anniversary of Establish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National Memorial Day

 

동학은 전쟁이 아닙니다. 그것은 평화를 향한 민중의 갈망입니다. 

Donghak is not war. It is our people’s aspiration for Peace.

 

정읍의 황토현, 강원도 홍천의 자작고개, 공주의 우금치, 장흥의 석대뜰 등등으로 상징되는 1894년 갑오년 전국의 전장에서 최소한 30만 이상의 흰옷을 입은 조선의 민중들이 쓰러졌습니다. 

Hwangto-Hyun at Jeongeup, Jajak Hill at Hongcheon, Ugeumchi at Gongju, Seokdae Field at Jangheung… These famous battlefields witnessed over 300,000 white-clad people of Joseon fall to their deaths in 1894.

 

그들 앞에는 초라한 관군과 합세한 왜놈들의 대거병력이 기관총을 앞세우고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

The formidable Japanese battalion, joined by Joseon’s pathetic government army, was waiting in formation, outfitted with gatling guns, ready to shoot.

 

흰옷을 입은 민중들이 그 앞을 죽창 하나 든 몸으로 나아갔습니다. 

Equipped merely with bamboo spears, these people, dressed in white clothes, went out to fight them. 

 

당시 이들을 바라본 토벌대장 이규태는 『진중일기』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The conquering army’s General Lee Gyu-Tae, having witnessed their bravery, wrote in his <Battlefield Diary>:  

 

“죽음을 무릅쓰고 서로 앞을 다투어 수만 명의 농민군들이 산등성이로 올라왔다. 

“Tens of thousands of peasant fighters kept coming over the hill with so much force and no regard for their lives.

 

도대체 저들은 무슨 의리義理와 무슨 담략膽略을 지녔기에 저리할 수 있단 말인가! 

What sense of justice and what kind of audacity drove them to do such a thing!

 

지금 그때 저들의 정황과 자취를 기록하려 하니, 생각만 해도 뼛골이 떨리고 마음이 서늘해진다.”

When I try to record their actions and trace their movements, my mind freezes with terror and I feel chilled to my bones.” 

 

그들은 과연 죽음을 향해 돌진했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삶을 쟁취하기 위해서 죽음의 모든 권세를 짓밟고 생명의 땅으로, 다시개벽의 세상으로 나아갔습니다.

So, were they marching towards their death? Not in the slightest! They crushed the authority of death, and advanced towards the land of Life, to the World of “Re-making.” (“Re-making”: Donghak’s core concept of revolution).

 

당시 서울에 와있었던 영국의 왕립지리학회Royal Geographical Society 회원, 이사벨라 버드 비숍Isabella Bird Bishop, 1831~1904 여사는 동학혁명에 관해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Isabella Bird Bishop (1831-1904), a member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who was visiting Seoul at that time, wrote about the Donghak Revolution: 

 

“동학군은 너무도 확고하고 이성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어서, 나는 그들의 지도자들을 ‘반란자들’이라기보다는 ‘무장한 개혁자들’이라고 부르고 싶다.

“This Tong-hak movement…[harbors] such definite and reasonable objects that at first I was inclined to call its leaders “armed reformers” rather than “rebels.”

 

그들은 외국인인 내가 봐도 의심할 수 없는 진실을 주장했다. 그 모든 것이 구구절절 옳은 말들이었다(Korea and Her Neighbors 제13장).” 

“The Tong-haks asserted, and with undoubted truth…even to a foreigner such as myself, their claims seemed entirely truthful.”

 

사랑의 궁극적 의미는 평화이지만, 사랑은 평화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The ultimate significance of love is Peace, but love does not guarantee Peace.

 

사랑은 구체적인 대상에 국한될 때, 그것은 편협한 집착으로 퇴락하기 마련입니다. 

When love is confined to a particular object, it inevitably devolves into prejudiced obsession.

 

바울이 고린도전서 13장에서 말한 사랑은 고린도에 있던 작은 크리스챤공동체 내부의 성원들끼리의 화해를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 love that Paul preaches in Corinthian:13 was about the harmonious existence between the members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사랑은 참고, 온유하며, 투기하지 아니하며, 자랑치 아니하며, 교만치 아니하며, 거칠지 아니하다 하였지만 사랑은 그러한 감정의 부드러운 상태를 가리키는 데 머물지 않습니다. 

“Love is patient, love is kind. It does not envy, it does not boast, it is not proud. It is not rude…” but love is much more than merely such gentle nature of emotions.

 

진정한 사랑은 자기를 무화無化시키는 데서 출발합니다. 

True love starts with reducing the “Self” to Nothingness. 

 

자아의 모든 집착으로부터 해방되는 태허太虛의 무한한 포용에 자기를 던지는 순간 사랑은 달성됩니다. 

Love is realized when we launch ourselves into the infinite tolerance of the “Great Emptiness,” liberating us from all compulsions of the Self.

 

이러한 사랑을 나는 평화라고 부릅니다. 

It is this kind of love that I call Peace.

 

진리도, 선함도, 아름다움도 평화를 상실하면 불인不仁하게 됩니다. 

Even the True, the Good, and the Beautiful become desensitized without Peace. 

 

평화가 없으면 진·선·미라는 모든 문명의 가치가 잔인하고, 경직되고, 몰인정하게 되고 맙니다.

Without Peace, all values of our civilization become cruel, severe, and compassionless.

 

예수는 바울과는 달리, 대망종말공동체 내부의 사람들끼리의 사랑을 외치지 않았으며, 살아 움직이는 갈릴리 평원의 인간 모두를 향해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외쳤습니다. 

Christ, unlike Paul, did not preach love between the members of particular eschatological communities; rather, he proclaimed towards everyone on the plains of Gallilee to “love thy neighbor as thyself.”

 

그러나 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한다고 하는 것은, 오직 내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할 때만이 가능한 것입니다. 

But to truly love your neighbor as you love yourself is only possible when you love God with all your mind and all your strength.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을 통해서만 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즉각적으로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Only through the act of loving God can we instinctively love our neighbors as we love our own selves.

 

하느님을 사랑하는 유일한 방도는 하느님을 무화無化시키는 것입니다. 

And the sole manner in which we can arrive at loving God is to reduce Him to Nothingness.

 

존재자로서의 하느님이라는 실체가 시공의 변화 속으로 사라질 때만이 하느님 사랑은 달성될 수 있는 것입니다. 

The love of God can only be actualized when God as a substantive entity gets assimilated into the space-time continuum, and when it becomes Change itself.

 

왜놈들의 총구 앞으로 나아간 조선의 민중은 무아의 해탈을 성취했습니다. 하나님이라는 존재, 그 실체를 무아의 평화 속에 묻어버렸습니다.

The people of Joseon, who pressed forward under Japanese gunfire, achieved this self-emancipation. They buried the substance called “God” in the Peace of anātman (egolessness).

 

동학은 19세기 중엽, 경주 용담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라난 최수운이라는 한 청년의 깨달음으로부터 시작된 사회운동이지만, 그것은 결코 단순한 종교운동이 아니었습니다. 

In mid-19th century, Donghak was initiated by a young man named Choi Suwun, born and raised in Kyungju. But this was no ordinary religious movement. 

 

그것은 고조선으로부터 내려오는 광활한 조선대륙의 삶의 총체가 응축된 정신문화가 일시에 폭발하여 만들어낸 새로운 혼백의 결정태였습니다. 

Donghak was the distillation of five thousand years of Korean history, crystalized in the instantaneous eruption of the variegated spiritual tradition of this land.

 

고구려의 핏줄을 타고 흘러내린 유구한 유·불·선의 전통이 융합된 토양 위에서 합리적 정신을 우주의 신비와 결합시킨 신유학의 심성론의 원칙들을 철저히 고수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해탈하는 자유자재로운 정신의 열정이었습니다. 

Neo-Confucian Mind-Theory combines “practical ethos” and “cosmic mysticism,” born out of the long lineag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at goes all the way back to the Koguryo Dynasty. While strictly adhering to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Donghak represented the zesty spirit that simultaneously broke free from its shackles.  

 

그 열정이 서세동점의 대세를 타고 들어온 서학西學과 맞닥뜨리면서 보국안민輔國安民의 우환 속에서 자각自覺과 자생自生과 자주自主를 외칠 수밖에 없었던 새로운 각성의 떨림, 그 포효였습니다. 

While Donghak’s passionate spirit clashed with the burgeoning force called Seohak (Western Learning), responding to the growing need to protect and defend the country and its people, it was compelled to assert self-enlightenment, self-creation and self-identity. Donghak was the lion’s roar of this new realization.   

 

그것은 조선왕조 오백년을 통하여 신흥지배세력이 민중을 억누르기 위하여 내세운 사대事大와 계층적 엄분嚴分, 그리고 귀족정치화 되어간 왕정의 모든 폐해로부터 그 본질을 전복하려는 민중혁명의 강력한 테제였습니다.

The half-millennium history of Joseon had degenerated into an oppressive monarchy, promoting national dependency, strict class stratification, and over-powering aristocracy. Against these corruptions, Donghak was the revolutionary paradigm seeking to reclaim the humanistic essence for the people.

 

아이러니칼하게도 그러한 테제를 일깨운 것은 서학, 즉 천주학이었습니다. 천주학은 서양제국주의열강의 침략을 정당화하는 가장 적절한 명분이었으며 보편성을 위장한 영혼의 파멸이었습니다. 수운은 이 천주, 즉 하느님과의 대결을 선포했습니다.

Ironically, it was none other than Western Learning, i.e., Catholicism, that awakened this spirit. Catholicism provided the perfect justification for imperialist invasions from the West, and it represented the destruction of our spirit in the name of universality. Suwun thus proclaimed a direct challenge against the God of Christianity.

 

천주학은 천주 앞에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Catholicism states that all people are equal before God.

 

수운은 이러한 평등사상을 통하여 자신의 우수한 유학선배들이 서학에 매료된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Suwun understood that it was this idea of equality that allured many of his senior Confucian colleagues. 

 

그러나 서학의 경전을 탐독한 수운은 그러한 평등관의 배면에 변함없이 초월적 독재자 천주가 엄존한다는 사실을 간파했습니다. 

But having thoroughly examined the Catholic scriptures, Suwun realized that behind this notion of equality there still existed the transcendental sovereign God.

 

인간의 존엄을 해치는 가장 본질적인 사실은 인간을 억누르는 권위주의적 이념들이 인간의 의식을 지배한다는 데 있습니다. 

Human dignity suffers when authoritative ideology governs human consciousness. 

 

그 이념들의 총체, 그 근원, 그 이념 중의 이념이 곧 “야훼” 혹은 “데우스”라는 이름으로 만유에 군림하는 천주라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Suwun discovered that the omnipotent ruler of the universe, parading under the name of “Yahweh,” or “Deus,” was precisely what was at the core of this ideology.

 

그리고 수운은 선포합니다: “인간의 평등은 오로지 인간이 하느님과 평등할 때 달성되는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수운의 포효에 대해 세계의 크리스챤들은 이렇게 말하겠죠: “기독교는 하느님 앞에 선 인간의 겸손을 가르친다.”

Suwun therefore professes: “Equality among humans can only be reached when Man is considered equal with God.” Perhaps the Christians in this world might retort: “Christianity teaches men to be humble before God.”

 

수운은 다시 말합니다: “겸손해야 할 주체는 우리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이다. 하느님은 사람 앞에서 겸손해야 한다.” 

Suwun thus repeats: “The one who should be humble is not us, but God. God must be humble before Man.”

 

야훼는 민족신이고, 전쟁신이며, 질투하는 하느님이고, 호오가 확실한 하느님이며, 인간집단을 도륙하는 데 하등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 하느님입니다. 

Yahweh is a nationalist god, a warmongering god, a jealous god. He is a god of favoritism and feels no remorse massacring entire tribes.

 

하느님이 정의를 결하면 그것은 하찮은 우상에 불과합니다. 민족에 대한 호오가 있는 하나님은 특정한 문명권 밖으로 수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하느님입니다.

If God lacks justice, He is nothing but an idol. A nationalist god can and should not be universal. 

 

예수는 이러한 하느님을 거부했습니다. 야훼는 하느님의 자격이 없는 우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예수는 예루살렘성전을 뒤엎었습니다. 즉 다윗왕의 보디가드 노릇을 하는 야훼를 축출해버린 것입니다. 예수는 다윗왕권을 거부했습니다. 그런데 초대교회는 예수를 다윗의 후계자로 만들고 그를 메시아로 조작했습니다.

The historical Jesus denied such a God. He did not believe such an idol was worthy of a god. That is why Jesus cleansed the Temple of Jerusalem. In other words, he expelled Yahweh, who was but a mere ‘bodyguard’ of King David. Jesus thus rejected the kingship of David. But Early Christianity manipulated history, making Jesus a direct descendent of King David, and proclaimed Him the Messiah.

 

수운은 이러한 조작을 꿰뚫고 있었습니다: “서양의 사람들은 천주의 뜻을 빙자하여 좋은 일을 베푸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천하를 공취攻取하려 한다.”

Suwun saw through these manipulations: “The people of the West may seem to be doing good deeds under God’s will, but in reality, they are attempting to conquer the world.”

 

수운은 초월적인 인격체로서의 하느님을 만났습니다. 그러나 그 해후로부터 1년간 자기검증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결론을 내립니다: “하느님은 인격성을 초월하는 존재Sein 그 자체이어야 한다. 어찌 하늘 꼭대기에 상제님이 옥경대에 계시다고 보는 듯이 말을 할꼬?” 

Suwun encountered thus, the transcendental entity that is God. After spending a one-year period of self-examination, Suwun concluded: “God must be ‘Sein’ itself, exceeding any personhood. Why is he reigning like some common chieftain, commanding from his high-chair?”

 

인격성이 거부된다는 것은 인간세의 호오好惡에 좌우되지 않는 정의로운 공평한 존재라는 뜻입니다. 수운은 그러한 하느님의 특성을 “무위이화無爲而化”라고 표현했습니다. 노자가 말하는 “도법자연道法自然”과 같은 뜻이지요.

To reject personhood is to be fair and just without being partial to various worldly attachments. Suwun characterized such a god as a “Change-without-intentionality.” This is a similar concept to Laozi’s expression, “Tao follows the ‘Naturally-so.’”

 

니체는 하느님을 죽이려 했습니다. 그러나 수운은 하느님을 살려내려 했습니다. 모든 시스템의 감금으로부터 하느님을 탈옥시켰습니다. 모든 관념과 언어의 폭력과 제도의 권위와 예식적 허위로부터 하느님을 탈출시켰습니다.

Nietzsche tried to kill God. But Suwun tried to save Him. He liberated God from all systemic imprisonment. He freed God from all ideologies, linguistic violence, social authority and ritual hypocrisies.   

 

이러한 탈출을 이미 조선사람들은 링컨이 게티스버그연설문을 읽고 있을 바로 그 시점에 성공시켰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사람에 의한, 사람을 위한 하느님을 확보함으로써 새로운 개벽세상을 열었습니다. 조선의 민중은 극렬한 탄압 속에서도 이 수운의 혁명사상을 조선8도 전체의 레지스탕스운동으로 구현해나갔습니다.

The people of Joseon attained this liberation of God right around the time Lincoln was reading the Gettysburg Address. And by securing a God, of the people, by the people, and for the people, they opened a new World of Re-making. The people of Joseon internalized Suwun’s revolutionary ideas and actualized a Resistance movement in the face of extreme oppression.

 

동학농민혁명을 바라보는 시각 중에서 가장 불행한 학계의 왜곡 중의 하나가 북접이니 남접이니 하는 편당의식을 가지고 혁명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동학혁명을 흐르는 정신은 단 하나, 수운의 “시천주侍天主”로부터 시작하여 해월의 “향아설위向我設位”에 이르는 인본의 플레타르키아pletharchia 사상입니다. 

See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partisan ideologies of Northern/Southern faction is one of the most unfortunate academic prejudices. The spirit that runs through the Donghak Revolution is singular: the humanistic principles of Pletharchia, beginning with Suwun’s notion that “侍天主: Man-is-God,” and reaching Haewol’s concept of “向我設位: Ancestor-worship-directed-towards-self.”

 

전라도에서 궐기한 사람들을 정치적·사회적 맥락의 항거로서만 분석하는 것은 온당치 못합니다. 전라도에는 전라도 나름대로의 특별한 역사환경이 있었지만, 동학은 이미 전국민의 신념체계로서 보편화되어 있었고, 그 보편적 조직을 관장한 사람은 제2대 선생님 해월 최시형崔時亨, 1827~1898이었습니다.

It is not correct to evaluate those who rose up in Jeolla province only in the context of a sociopolitical mutiny. Jeolla province may have had its particular history, but Donghak was by then already established as a global national belief system, and it was Teacher Haewol (Choi Shi-Hyung, 1827-1898) who guided this global system.

 

“어린이를 때리지 말라! 어린이를 때리는 것은 하느님을 때리는 것이다. 하느님은 매맞기를 싫어하신단다.” 

“Do not strike children! To hit a child is to hit God. God does not like to be beaten.”

“베를 누가 짜고 있으냐? 제 며느리가 짜고 있습니다. 아니다! 하느님이 짜고 계시나니라.” 

“Who is weaving now? It is my daughter-in-law who weaves. No! You are seeing God at the loom.”

“일체의 사람을 하느님으로 대하라. 손님이 오거든 하느님이 오셨다 하라.”

“Treat every person as God. When a guest calls on you, say God has arrived.”

 “타인의 시비를 말하지 말라. 이는 천주를 시비함이라.” 

“Do not judge others. To judge another is to judge God.”

“네가 먹는 밥 한 숟가락 그것이 곧 하느님이니라. 온 생명의 근원이니라.” 

“The spoonful of rice you eat ─this is God. He is the origin of all life.”

“제삿상은 청수 한 그릇으로 족하니라. 청수 한 그릇이야말로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A simple bowl of water is a sufficient offering to your ancestors. Because this small portion of water is also God himself.”  

 

 

수없는 해월의 설법은 너무도 쉽게 민중의 가슴으로 파고들었습니다. 녹두 전봉준 장군은 해월에 의하여 고부접주로 임명된 사람입니다. 전봉준은 죽기 전 공초에서, 접주를 임명할 수 있는 사람은 해월 법헌 한 사람뿐이라고 말했습니다.

Haewol’s numerous aphorisms struck readily at the hearts of the Korean people. The famous Jeon Bong-Jun, a.k.a. General Mung Bean, was actually appointed by Haewol as a local leader at Gobu. In the interrogation report just before his death, Jeon stated that the only person who could appoint a local Donghak leader was Haewol.

 

“동학이라는 게 무슨 주의主意가 있느냐?”라는 질문에, “동학은 수심守心하여, 충효로 본을 삼고, 보국안민하자는 것뿐이외다”라고 대답했습니다. 

When asked the question, “What ideals does Donghak uphold?” the General answered, “Donghak means keeping an unwavering mind; its essence is filial piety, and it strives only to correct our nation for the welfare of our people.”

 

“너는 동학을 좋아하느냐?”라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동학은 나의 마음을 지킬 수 있게 하고, 하느님을 공경케 하는 도道이므로, 심히 좋아하나이다.”

In replying to the question “Do you like Donghak?” he said: “Donghak not only keeps my mind secure, but it is also the Tao of encountering God, so yes, I love it deeply.”

 

전봉준은 동학사상의 신봉자로서 전주 삼례교조신원운동(1892년 11월)에서 이미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전봉준은 해월의 사상을 신뢰하고 따랐습니다.

Jeon Bong-Jun already distinguished himself as a member of the Donghak movement at Samrye, Jeonju, where the mass protest to posthumously acquit the founder of Donghak, Suwun, took place (November, 1892). Jeon was an avid follower of Haewol and his teachings.

거사를 바라보는 방법론의 차이에 근거하여 남접·북접의 대립을 운운하는 것은 어리석은 소치입니다. 남접, 북접의 분별은 근원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approaches of Haewol and Je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partisan confrontation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factions. It is completely futile to claim there was even such a factional distinction.

해월의 전체를 통찰하는 신중함이 없었더라면 동학의 명맥은 깊게 단절되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전봉준의 구국의 결단이 없었더라면 정확한 카이로스에 조선왕조의 뿌리를 근절시키는 대업을 성취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Without the holistic perspective and prudence of Haewol, the tide of Donghak may have been severed. But also, without Jeon’s active determination to reclaim the nation, the precise Kairos of uprooting the regime of Joseon could not have been accomplished.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을 선포했습니다. 그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입니다. 제3조는 “대한민국의 인민은 남녀귀천 및 빈부의 계급이 무無하고 일체 평등임”입니다. 이것은 외래사상을 수용한 결과가 아닙니다. 동학의 정신이 개화한 것입니다.

On April 11th,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ublished its very first Constitution. Article 1 proclaims “Korea is established as a Democratic Republic.” Article 3 states “There shall be no class distinction among the citizens of the Korean Republic, but men and women, noble and common, rich and poor, will have equality.” This was not the result of importing western ideas. It was created from the spirit of Donghak. 

 

3·1만세독립혁명을 주관한 것도 동학이었습니다. 33인의 대표가 공주 우금치전투의 리더 의암 손병희였고, 33인 중 15명이 동학사람들이었으며, 그 중 9명이 동학혁명의 현장에서 일본군과 피 흘리며 싸웠습니다. 

It was also Donghak that led the March 1st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e leader of the 33 representatives was none of than the chief commander of the Battle of Ugeumchi, Son Byung-Hee (Teacher #3). Of the 33, there were 15 Donghak members, and 9 of those members were frontline soldiers of the Donghak Revolution, who spilled their blood fighting the Japanese army.

 

상해임시정부를 이끈 백범 김구 선생도 황해도 팔봉접주였습니다. 건준을 만든 몽양 여운형 선생도 그 뿌리가 동학에 있었습니다. 몽양의 작은 할아버지가 동학경전을 간행했습니다. 홍구공원에서 도시락폭탄을 터뜨려 세계를 놀라게 한 매헌 윤봉길도 충청도 동학 리더 배성선裵成善의 훈도를 받았습니다. 배성선은 그의 장인이었습니다.

Baekbeom Kim Gu, Presid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lso a local Donghak leader at Palbong, Hwanghae Province. The creator of the “Committee for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Mongyang Yeo Un-Hyung, was also rooted in Donghak. His great uncle published the Donghak Scriptures. Maeheon Yun Bong-Gil, who astonished the world by detonating a lunch-box bomb at Hongkou Park in Shanghai, was also taught by the Donghak leader Bae Seong-Seon, who was his father-in-law.  

동학은 젊습니다. 동학을 이끌어간 지도자들의 대부분이 30대의 청년들이었습니다. 수운이 대구장대에서 참형을 당한 것도 만 40에 이르기 이전이었고, 녹두장군이 서울에서 교수형을 당했을 때도 그의 나이 만 40이었습니다. 이들이 모두 30대 후반에 활동을 했습니다. 그들의 물리적 나이가 어떠하든지간에 수운과 더불어 다시개벽의 노래를 부른 모든 사람들이 젊었습니다.

Donghak is youthful. All the leaders who shepherded the Donghak movement were young men in their 30s. When Suwun was guillotined at Daegu military headquarters, he was not even 40 years old, and General Mung Bean was barely 40 when he was tragically hanged in Seoul. All of these Donghak leaders were active in their thirties. And regardless of their biological age, everyone who chanted the song of “Re-making” with Suwun were all in the bloom of their youth.

 

 

젊음은 비극에 물들지 않은 영혼입니다. 그래서 청춘은 비극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청춘은 비극을 선명하게 인식하면서도 비극의 한가운데로 자신을 던집니다. 그리고 자기를 잊어버리며 자기를 초월합니다. 

Youth is the spirit yet untouched by tragedy. That is why youth does not fear tragedy. Youth vividly perceives tragedy, yet it launches itself into the epicenter of tragedy. By forgetting oneself, youth transcends the ego.

 

청춘이 비극에 도전할 때마다, 비극은 청춘이 지향해야 할 이상을 노출시킵니다. 그 이상이 담지하고 있는 보편적 가치의 항구성을 직관할 때 청춘은 평화에 도달합니다. 평화는 비극의 이해이며 동시에 비극의 결실을 보존합니다. 비극은 결코 헛되지 않습니다. 청춘은 결코 좌절하지 않습니다. 청춘은 비극적 절망 속에서도 무아의 평화를 직관합니다.

Whenever youth challenges tragedy, tragedy exposes the ideals that youth must pursue. When youth intuits the dynamic equilibrium of the universal values that these ideals harbor ─it is then that youth achieves Peace. Peace is both the comprehension of tragedy and preservation of its fruits. Tragedy is never in vain. Youth is never dispirited. Even in the wretchedness of tragedy, youth will always find the Peace of anātman.

 

고구려의 청춘이 동학으로 다시 태어나면서 두 세기의 격랑 속에서도 동학은 조화로운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중용을 달성했습니다. 평등의 새로운 인식과 아름다움의 도약과 자제할 줄 아는 자유의 감각을 생성했습니다. 평화는 정적靜寂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정靜은 동動의 정靜일 뿐입니다.

The youth of Koguryo was reborn in the Donghak movement. During the last two turbulent centuries, Donghak managed to achieve the harmonious state of the “Mean-of-Oneness.” It created the novel understanding of equality, the soaring achievement of aesthetic sensitivity, and the sensibility of liberty that is also grounded in self-discipline. Peace does not acquiesce in tranquility. Tranquility too, is a notion that must be based on movement; Tranquility in Donghak is a dynamic concept.

 

조화는 반복의 굴레를 넘어서는 신선한 것이어야 합니다. 젊음은 아름다움을 사랑합니다. 그러나 이때 사랑은 개체를 넘어서는 것이며, 제한된 개체의 완벽을 초월하는 것입니다. 이기를 극복하고 평화의 면류관을 쓸 때 문명은 활력을 획득하며, 우리 인간에게 삶의 가치를 부여합니다. 

Harmony must transcend the wheel of repetition and be immanently fresh. Youth loves beauty. But this love is beyond the love for an individual entity, rising above the limited Perfection of the particular. When civilization overcomes egoism and wears the garland of Peace, it recovers its vitality and bestows upon us the true value of Life. 

문명은 망아적忘我的인 초월의 열정 속으로 침잠할 때 가장 아름다운 것이 되지만, 그 문명의 모든 사건에는 항상 젊음의 꿈과 비극의 성과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동학의 모험은 청춘의 열정과 꿈으로부터 시작하여 비극적 아름다움을 수확했습니다. 동학은 우리 민족이 격한 열정을 지니면서도 항상 평화를 지향하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동학을 위해 생명을 바친 조선동포들의 희생을 통해 인류는 결국 평화를 배우게 될 것입니다. 인류는 우리가 왜 백의민족인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Civilization may be at its most sublime when it plunges into the zeal of egoless transcendence, but in each of its episodes, the dreams of youth and the fruits of tragedy are always lurking. The adventure of Donghak started with the zeal and dream of the youth, and it reaped the fruits of tragic beauty. It is Donghak that explains why our nation always craves for Peace, despite the vehement passion that each of us carry within us. Humanity will learn Peace through the sacrifice of our fellow people of Joseon, who gave their lives for Donghak. The world will finally understand why we are the white-clad nation.

 

전 세계의 인민들에게 호소합니다. 남한과 북한의 화해는 인류평화의 핵심입니다. 우리는 서로가 전쟁이나 대립을 원하지 않습니다. 남과 북의 동포들이 서로를 포용하며 휴전협정을 종료하고 심오한 평화의 관계 속에서 인류의 새로운 이상을 창조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우리는 너무도 기나긴 냉전의 설상雪霜 속에서 억울한 세월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봄은 오고야 말 것입니다.

I beseech everyone under the sun. The reconcili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is the fulcrum of world peace. We, whether from North or South, do not want war, nor conflict. Please help our fellow North and South Koreans to act with compassion and terminate the Ceasefire Treaty, so that we may create a new ideal for humanity, embedded in a deep-seated peaceful relationship. Our nation has endured the torturous winter of post-war conflict for much too long. But our spring will soon come.

 

동학은 성誠을 말합니다. 하느님과 인간의 성실함을 말합니다. 우리의 삶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은 하느님을 오염시키는 것입니다. 세계의 전 인민들은 무책임한 일본의 방사능오염수 방류를 막아야 합니다. 동학이 이 시대를 향해 외치는 소리는 이러한 양심적 세계인의 항변을 통해 이어질 것입니다. 봄은 오고 있습니다.

Donghak talks about “Cosmic Sincerity.” This is the Sincerity of God and the Sincerity of Man. To pollute our environment is to pollute God. The citizens of the world must help to stop Japan’s irresponsible act of releasing radioactive wastewater. It is in such ethical protests by the world’s citizens that the voice of Donghak will continue to reverberate. Spring is just around the corner. 

 

2021년 5월 11일

조선의 철학자 도올 김용옥

 

May 11, 2021

Do-ol Kim Young-Oak 

Philosopher of Korea

 

─ subtitle by SeungJ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Art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Now

현재 동학선언문 Donghak Manifesto (Do-ol Kim Young-Oak Philosopher of Korea)

댓글 0 | 조회 253
도올 김용옥의 동학 선언문 전문 (영문자막)도올TV 영상 주소 : ─ 동학농민혁명국가기념일 3주년을 맞이하여 ─On the Occasion of the Three-Year Anni… 더보기
Hot

인기 갈등 속에 성장은 있는가? Is there Growth in Conflict?

댓글 0 | 조회 213
갈등 속에 성장은 있는가 ?Is there Growth in Conflict?리아 빌리아플로어 마닐라 도장 도생Written by Ria Villaflor, Manila Dojan… 더보기
Hot

인기 장차 동서양을 비빔밥 비비듯 하리라 . I shall intermingle the East and West like bibimbap

댓글 0 | 조회 167
예전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일들이 현대 사회에서는 상제님의 공사대로 진행되고 있다. 뉴욕, 파리, 동경, 서울의 패션 유행은 시간차가 거의 없을 정도이다. ‘동서양을 비빔밥 비비듯 … 더보기
Hot

인기 전염병의 세계사 - 윌리엄맥닐 Plagues and Peoples - William H. McNeill

댓글 0 | 조회 285
전염병의 세계사 - 윌리엄맥닐 지음 / 이산Plagues and Peoples - William H. McNeill인류 역사를 바꾼 주요 질병을 관찰하는, 생각을 자극하는 책이다.… 더보기
Hot

인기 킹덤 시즌 2 와 현 상황의 우연성에 대한 사색 Further Thoughts on the Coincidence of Kingdom Season 2 and Today

댓글 0 | 조회 184
킹덤 시즌 2 와 현 상황의 우연성에 대한 사색Further Thoughts on the Coincidence of Kingdom Season 2 and Today리아 빌리아플로어… 더보기
Hot

인기 160 년전의 동학 , 괴질 판데믹을 경고했다 . Donghak warns of the mysterious pandemic 160 years ago.

댓글 0 | 조회 213
160 년전의 동학 , 괴질 판데믹을 경고했다 .Donghak warns of the mysterious pandemic 160 years ago.동학( 東學 )은 괴질 판데믹(p… 더보기
Hot

인기 Contagion (2011, U.S.A.) 과 The Flu (2013, South Korea)

댓글 0 | 조회 194
컨테이젼 ( 전염 )Contagion (2011, U.S.A.)홍콩 출장을 다녀온 베스가 이틀 만에 죽고 그녀의 남편은 그녀가 무엇 때문에 죽었는지 모른다. 의사들은 치명적인 질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