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역사/문화

환단고기 관련 다양한 컨텐츠는 대한사랑 K역사문화채널 홈페이지 http://koreanskorea.com 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일제의 식민주의사관

운영자 0 122
일제가 조선을 침략하던 시기는 제국주의가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팽창하던 때였다. 제국주의 열강은 진보라는 미명 아래, 문명이 발전한 나라나 민족이 그렇지 못한 다른 나라를 문화, 정치, 경제적으로 식민지로 삼아 지배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믿고 있었다. 일본도 이 영향을 받아 아시아를 식민 지배하려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일제가 한국사를 왜곡한 배경에는 식민사관이 있다. 그런데 이 식민사관은 황국사관皇國史觀을 배경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황국사관은 『고사기』, 『일본서기』의 신화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황국사관은 고대 한국의 왕을 일본 왕의 후손으로 왜곡하고, 고대 한국은 일본에게 정복 또는 지배를 당했다는 식으로 역사를 왜곡한다. 한민족이 일본에 건너가서 역사를 다 만들어 주었고, 백제가 망한 뒤에 ‘일본’이란 국명이 나타났는데도, 일본은 한반도와 전혀 관계없이 일본 왕 중심의 만세일통의 조작된 자국 역사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 황국사관은 정한론征韓論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고 19세기 후반 메이지 유신 후에 한국과 만주의 지배를 합리È하기 위해 식민사관으로 드러났다.

식민사관은 일제 관학자들이 한국사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면서 조선 침략과 지배를 정당화하려 한 역사관으로, 한말에 이미 태동하고 있던 만선사관滿鮮史觀에 기초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타율성론·정체성론을 주장하는 사관이다.
일선동조론은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 교과서 등에서 강조한 사상으로 한일 양국이 동일한 조상의 근원을 가진 민족이라는 주장이다. 때문에 한국강점 전후 시기에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감정적 친화력에 호소하기 위한 이론적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타율성론은 한국사가 자율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항상 주변 강대국의 영향 아래 역사가 전개되어 왔다는 주장이다. 곧 한반도의 역사는 외세의 부단한 침략과 영향에 의해 타율적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자주적 역사를 형성할 수 없었고, 역사적으로 자율적 독립의지가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음으로써 비로소 타율성에서 탈피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체성론은 한국사의 단계적 발전을 부정하고 한국사를 정체와 낙후를 거듭한 역사로 파악한다.

현재 이 논리를 그대로 따라하는 인사들이 뉴라이트 계열이다. 외래사관 신봉자들은 아무래도 외래사관이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정당성과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침략사관을 문명화와 해방이란 말로 포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식민주의 사관이 주장하는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군성조가 고조선을 건국한 사실을 부정하고, 한국사는 첫 장부터 식민 국가로 출발했다고 강조하였다. 둘째, 한반도의 상고 시대 문화를 묵살하고, 고대 국가로서의 출발을 의식적으로 낮추어 잡는 등 한국 고대사의 상한선을 가능한 선까지 끌어내렸다. 셋째, 고대 한일관계사에¼ 한국의 영향을 일체 묵살하였다. 넷째, 삼국 시대 → 대진·신라 시대 → 고려 시대 → 조선 시대로 이어진 한국사를 단순히 왕조 교체에 불과한 것으로 규정하여 한국사를 사회발전이 결여된 정체의 역사로 설정하였다. 다섯째, 한국은 사대주의로 말미암아 독자적이고 창의성이 깃든 문화를 이룩할 수 없었고 따라서 모방성과 외래성이 한국문화의 특성을 이룬다고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사에서 외세의 침략을 강조하는 한국사의 어둡고 수치스러운 부정적 성격을 크게 부각시켰다.
이런 식민사관을 바탕으로 일제는 조선의 역사를 날조, 말살하는 흉계를 하나씩 진행해 나갔다.

조선사 말살 작전
한국을 강탈한 일제의 고민은 우리 민족이 일본보다 더 오랜 역사를 가진 문화 민족이라는 사실이었다. 총칼로 잠시 지배할 수는 있겠지만 영원히 식민지로 만들기에는 조선의 문화적 저력이 너무 컸던 것이다. 이에 일본은 조선 민족을 완전히 일본에 동화시키고자 가장 먼저 조선 상고사 말살 작전을 펼쳤다.

일제강점기 초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1852~1919)는 “조선인들에게 일본혼을 심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그들의 민족적 반항심이 타오르게 된다면 큰일이므로 영구적이고 근본적인 사업이 시급하다. 이것이 곧 조선인들의 심리연구이며 역사 연구이다” 라고 하여 조선사 편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일제는 조선사를 말살하기 위해 ‘조선사편수회’를 만들었다. 조선사 편수 사업은 경술국치 이전인 1906년부터 시작된 ‘조선 구관제도 조사사업朝鮮舊慣制度調査事業’에서 기원한다. 일제는 조선 강점 이전부터 이미 한국사 말살을 기획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사업은 1910년 국권 °탈 후 조선을 통치하는 법령 제정과 형벌을 관장하는 가장 악질적인 기관인 취조국으로 이관되었다.

취조국은 조선의 관습과 제도를 조사한다는 미명 하에 헌병과 헌병 보조원을 앞세워, 1910년 11월부터 약 14개월 동안 조선 강토 구석구석을 뒤져 역사서를 포함한 20여 만 권의 각종 도서를 수거하여 대부분 불살라 버렸다. 조선의 역사책, 전기, 족보, 만세력 등을 금지하여 민족 사상을 말살코자 했고, 조선의 인문, 지리, 풍습에 관한 책을 금지하여 전통문화를 말살코자 했고, 독립운동사를 기록한 외국 역사책을 금지하여 독립정신을 저해코자 했고, 무궁화나 태극기에 관한 책을 금지하여 민족혼을 일깨우지 못하도록 하였고,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사상에 관한 책을 금하였고, 농민운동, 청년운동, 여성운동, 야학운동 등을 다룬 책을 금하였다(김삼웅, 『일제는 조선을 얼마나 망쳤을까』, 232~233쪽).

그러면서도 조선사를 왜곡하는 데 무리가 없거나 식민화에 도움이 될 만한 사서는 그대로 남겨 두었다. 그렇게 남겨진 사서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우리 고대사의 단서를 결정적으로 제공해주는 기록이 있다. 바로 ‘昔有桓國’이다. 옛적에 환국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역사서 수거는 그 후 『조선사』 편찬이 마무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일제는 1915년에 이 사업을 이완용, 권중현 등 부일附日 역적을 앉혀 놓은 중추원으로 이관하고, 1916년에는 중추원 산하에 ‘조선반도사편찬위원회’를 발족시켜 한민족의 혼을 말살하기 위한 역사서 편찬을 시작하였다.

1919년 3.1운동 후 일제는 조선 통치 방향을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바꾸었다. 조선총독부는 중추원 산하에 있던 역사편찬 업무를 조선총독부 직속 ‘조선사편찬위원회’(1922)로 이관하고 식민통치를 합리화할 역사서 편찬을 본격화하였다. 그러나 조선인 학자들이 외면하여 활동이 미진하자, 일왕의 칙령으로 조선사편수회(1925)로 개편하고 조선총독부 직할 독립 관청으로 승격시켰다. 조선사 말살 정책이 조선총독부 문화정치의 핵심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일제는 조선사편수회에 총독과 맞먹는 권력을 가진 정무총감이 위원장을 겸임하고 실무자의 관직을 높이는 등 상당한 대우를 했다. 친일파 중에서 이완용, 권중현, 박영효, 이윤용 등을 고문으로 앉히고 핫토리 우노키치服部宇之吉, 구로이타 가쓰미黑板勝美, 하야미 히로시速水滉 등 일본인 거물과 학자를 위촉했다. 조선사편수회는 단순히 역사¼를 편찬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으로 조직되었던 것이다.

당시 일본학계에서는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 교수이던 구로이타 가쓰미黑板勝美가 조선사 왜곡 작업을 총괄했다. 만선사관滿鮮史觀의 대표자인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가 간사로 조선사편수회의 편찬 업무를 실질적으로 주관했고, 후일 경성제국대에서 조선사를 강의한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합류했다. 이들이 조선사편수회를 이끈 3인방이다.
이렇게 조직을 재정비한 후 사이토 총독은 경무국을 동원해 위협, 공갈, 매수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조선인 사학자들을 포섭하였다. 일본의 포섭으로 참여한 사학자는 이능화, 이병도, 신석호, 최남선 등이었다. 비록 조선사편수회에 한국인이 들어갔지만 그것은 구색 맞추기에 지나지 않았다. 의견이 대립할 때는 일본 역사학자의 의견이 관철되었다.

조선사편수회는 16년 동안 무려 100만 엔에 이르는 거액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최대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1932년부터 1938년까지 식민주의 사관으로 저술한 여러 사서를 간행하였다. 그 중 일제가 가장 역점을 두고 편찬한 책이 바로 『조선사』이다. 『조선사』는 조선 역사와 관련된 중국, 일본, 조선의 사료를 시대별로 모은 총 37권(본문 35권, 목록 1권, 색인 1권), 2만4천 쪽에 이르는 방대한 사료집으로 ‘일본인의 손에 의해 일본어로 정리된 조선의 역사서’이다.

일제는 이 책을 편찬할 때 일제 식민통치에 유리한 사료는 많이 넣고 불리한 것은 의도적으로 넣지 않았다. 그런데 그 사료조차도 85%가 이 땅의 마지막 왕조인 조선과 고려에 관한 것이고 겨우 8%만 상고사와 관련되는 자료였다. 일제가 『조선사』를 편찬하면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바로 단군 관련 기록 삭제, 한국과 일본은 같은 조상을 뿌리로 한다는 동조동근론同祖同根論 구축, 조선인은 열등하고 일본인은 우수하다는 인식을 갖게 하는 것 등이었다. 『제왕운기』, 『세종실록지리지』, 『응제시주』와 조선 초기 문헌에 나타나는 단군 관련 사료는 하나도 수록하지 않았다. ‘조선반도사’ 및 『조선사』 편찬 요지는 ‘공명정확한 사서를 새로 써서 선인에 대한 동화의 목적을 달성하자는 것’으로 ‘한국의 식민화 한민족의 동화  목적으로 했고, 그 방법으로 ‘역사는 사실의 기록’임을 강조하면서 사화史話, 사설史說 등은 일체 무시하고 오로지 기록에 있는 ‘사료史料’에만 의존한다는 원칙을 세워 ‘단군성조’의 역사성을 연대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부정하고 한국사의 시원 문제를 제외시켰다. 지금도 이 일제가 만든 이 원칙을  해방된지 70년을 넘고 있건만 한국의 주류사학에서는 충실히 이행을 하고 있다.
『조선사』 간행은 민족 정체성을 뿌리 뽑아 한민족을 일본 왕의 충실한 신민으로 전락시키려는 황국신민화 정책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일제는 식민통치 25주년을 기념하여 『조선사의 길잡이』라는 대중용 해설서를 펴냈다. 이 책에서는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을 주장하는 반면 단군조선을 완전히 지워 버렸다. 한민족의 실질적인 역사는 ‘한나라가 설치한 한사군에서 시작된 것’이라 강변한 것이다. 그리고 한민족은 고대로부터 식민지 백성으로 살아온 타율적이고 사대주의적인 역사를 가진 민족으로, 일제 통치 하에서 처음으로 행복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하였다. 헌데 아직도 이런 노예사관을 아무렇지도 않게 앵무새처럼 따라하는 이들이 식민사학자들과 뉴라이트 인사들이다. 이렇게 조작된 역사서와 역사 내용이 전국 각 기관에 배포되고 각 학교에서 조직적으로 교육되었다. 조선사편수회의 이런 역사 말살 작업에 대해 당시 언론은 “우리의 역사를 일제의 손에 내어 주는 것으로 최후의 정신적 파산이다”라고 한탄했다.

일제는 한민족의 정신을 파탄내려 했을 뿐 아니라 ‘실증과 근거가 있어야 사실의 역사’라는 실증사학 논리를 표방하면서도 오히려 귀중한 유물을 파괴하고 약탈했다. 신라 시대 대표적 호국 사찰인 사천왕사의 금당 터와 강당 터 사이를 관통하도록 철길을 만들어 사천왕사 원형을 알 수 없게 만들고, 문무왕 화장터로 알려진 능지탑은 상단부를 뜯어서 철도공사 기초로 사용했다. 임나일본부설의 근거를 찾으려고 대가야 유적인 고령 지산동 고분을 무더기로 파헤쳐 트럭 2~3대 이상이나 되는 유물을 모조리 쓸어갔다. 우리 역사 상한을 ‘금석병용기(청동기와 석기가 병용되던 시대)’라 강변하면서 그 이전 유물에 대해서는 발굴과 연구 자체를 금지시킨 것이다.

우리의 지난 역사를 우리 손으로 직접 쓰지 못하고 침략자 일본이 마음대로 썼다는 것은 한민족 근대사의 큰 비극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더 큰 비극은 일제가 왜곡하고 날조한 거짓 역사서가 아직도 한국  사학계에서 한국사의 주요 사료로 활개를 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식민사학이 청산이 안 된 채  미래에 대한민국을 끌고 갈 학생들들에게 아직도 일제가 만들어 놓은  식민사학을 가르치고 있는 현실이다.(환단고기안경전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State
  • 오늘 방문자 917 명
  • 어제 방문자 1,220 명
  • 최대 방문자 3,354 명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