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만난증산도

[진리를 만나기 전 궁금증]

인생의 의미 | 세상의 문제 | 사후세계 | 예언 | 환단고기 | 조상님 | 신교수행 | 동양철학무신론 | 종교 | 기독교 | 천주교 | 불교대순 | 신천지 | 원불교 | 보천교

[진리를 만난 계기]
상생방송 | 도전 | 개벽 도서 | 춘생추살 

대순진리를 통해 알게 된 상생방송

운영자 0 51

상생방송에서 찾은 진리의 문


박창건(남, 50) / 서울동대문도장 / 150년 음력 3월 입도
 

불행한 인생에 힘들어하며


어머니 외가 쪽의 기독교 신앙이 워낙 커서 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아주 어렸을 때부터 교회를 다녔습니다. 그러던 중, 초등학교 시절에 교회에서 불미스런 일이 생겨 교회에 나가지 않고 평범한 성인으로 자랐습니다.

경제적 형편은 좋지 않았지만 스스로 언젠가는 잘사는 날이 오겠지 하며 하루하루 분발하자는 정신으로 마음을 굳게 가졌습니다. 가끔 정신적으로 힘들 때에는 조금 더 발전하기 위한 담금질로 생각하며 인생을 살아왔고, 살아가려 노력하였습니다.

20대 후반에 사랑하는 아내를 만나 두 딸을 낳고 가족이라는 책임감을 생각하며 낮에는 개인적인 장사를 하고 밤에는 대리 기사 생활을 하면서도, 여행을 좋아하여 부모님과 아내와 아이들과 전국의 관광지도 종종 여행하곤 하였습니다. 이렇게 생활하는 것이 삶의 행복이고 의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세월이 흘러 인생 40대 후반에 접어들어 소중한 가족에게 너무나 큰 불행이 찾아왔습니다. 그 불행으로 인하여 인생에 있어 행동과 삶의 후회와 반성을 수도 없이 했고 내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많은 고민을 하며 힘든 날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대순진리회를 통해 알게 된 상생방송


하지만 다른 가족도 똑같이 아픈 마음을 이겨내고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나도 힘을 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교회를 나가 볼까 절을 다녀 볼까 생각하며 하루하루 세월을 보내다 성인의 말씀이 듣고 싶어졌습니다. 성경은 저에게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부처님 말씀을 알아봐야겠다는 마음이 생겨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여러 책도 구입하여 읽으면서 윤회에 대한 믿음이 생겼습니다. 죽음을 맞이한다고 하여 끝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다 보니 명상을 하는 영성 모임 속에서 수련을 조금씩 하며 지내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어머니가 보시는 기독교 방송을 보다가 ‘불교방송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나서 불교방송을 시청하였습니다. 스님들의 설법이 어려워도 진리를 말씀하시는구나 하는 생각으로 시청을 하다가 채널을 돌리는 도중 도전봉독이라는 프로그램을 보고 ‘뭐지?’ 하는 생각을 갖고 시청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그것은 제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종로에서 도에 대해 알아보지 않겠느냐는 말을 듣고 따라가서 뭣도 모르고 입도를 하게 된 대순진리회에서 알게 된 강증산 상제님의 말씀을 봉독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또한 그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곳이 증산도 상생방송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강증산 상제님에 대한 믿음은 그때 당시만 해도 있었는데 언론 매체에서 떠드는 안 좋은 방송과 뉴스를 보면서 기억에서 지워 내려 했었습니다. 30여 넌이 지나 이제서야 다시 방송으로 만나게 된 것입니다. 그 이후로 집에만 들어오면 상생방송을 보았는데, 볼수록 ‘지난날에 알았던 내용은 아무것도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태을주를 찾다가 이어진 입도의 길


태을주를 가지고 다니며 듣는다는 이야기가 상생방송에 나와 인터넷에서 태을주 MP3 파일을 찾던 중 블로그 운영자이신 이재철 님께 문의하여 카톡으로 파일을 받았고, 다른 자료들도 같이 우편으로 보내 주셔서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조상님과 가족에 대한 천도식을 해 드리고 싶어 문의를 드렸더니 서울동대문도장에 초대해 주셨습니다. 입도를 먼저 하고 나서 알아보자는 말씀과 함께 진리 공부도 몇 차례 하게 되었습니다.

내 가족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으로 천도식을 하고자 방문하였지만 진리의 더 큰 뜻이 있다는 내용도 알게 되어 우선 입도를 결심하였고, 앞으로 더 큰 진리를 위해 실천하는 도생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